강과장의 투자 브리핑

3기 신도시 '알짜 땅', 이제 리츠로 투자한다? 🏗️ '프로젝트 리츠'가 가져올 부동산 개발의 새 바람!

강과장님 2025. 5. 27. 00:13
728x90

 

 

 


PF 부실 시대의 대안? '프로젝트 리츠'로 3기 신도시 우량 용지 선점 기회!

 

2025년 5월, 부동산 개발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프로젝트 리츠(REITs, 부동산투자회사)' 제도가 본격적인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 최근 국회에서 프로젝트 리츠 도입 내용을 담은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국토교통부가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나섰는데요.

 

특히 주목할 점은, 3기 신도시 내 역세권 등 우량 용지 일부를 이 '프로젝트 리츠'에 우선 공급하고, 리츠가 개발부터 운영까지 직접 맡을 경우 용적률 상향 등 파격적인 특례까지 제공한다는 내용입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문제로 얼어붙었던 개발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국민들에게는 안정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지, 오늘 블로그에서 '프로젝트 리츠'의 모든 것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 리츠'란 무엇? 기존 리츠와 어떻게 다를까? 🤔

 

리츠(REITs)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고, 그 수익(임대료, 매각차익 등)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부동산 간접 투자 상품입니다. 그렇다면 **'프로젝트 리츠'**는 무엇이 다를까요?

 

  • 개발부터 운영까지 '원스톱': 기존 리츠가 주로 완성된 부동산을 매입·운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프로젝트 리츠'는 리츠 운영사가 직접 부동산 개발 사업(토지 매입, 기획, 건설)부터 완공 후 운영, 임대까지 전 과정을 총괄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 제도입니다.

 

  •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으로 법적 기반 마련: 지난 5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안이 그 법적 토대가 되었습니다. (11월 시행 예정)

정부의 '프로젝트 리츠' 활성화 지원책, 어떤 내용 담겼나? 🎁

 

국토교통부는 지난 21일 '부동산산업 선진화를 위한 리츠 및 PF 정책 설명회'를 열고, 프로젝트 리츠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1. 3기 신도시 '알짜 용지' 우선 공급! (핵심!)

 

  • 올해 하반기부터 3기 신도시 공공택지 내 우량 용지 일부를 '책임운영개발 리츠'에 의무적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시행할 계획입니다.

 

  • 주로 역세권에 위치한 업무·상업용지가 그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일반 PF 사업자나 개인 투자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최상급 입지의 개발에 참여할 기회가 열린다는 의미입니다.

 

2. 세제 혜택으로 사업성 UP! (토지주 유인책)

 

  • 토지주가 도심 내 유휴 부지를 프로젝트 리츠에 현물로 출자할 경우, 법인세나 양도세 과세를 이익 실현 시점(리츠 주식 처분 등)까지 미뤄주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필요, 과세당국과 조율 중) 이는 토지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개발·운영 특례 제공! (용적률 상향 등)

 

  • 프로젝트 리츠가 부동산 개발 후 분양하지 않고 직접 장기간 운영(임대 등)할 경우, 용적률 상향, 공공기여 완화와 같은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내년 관련법 개정 목표) 이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임대주택 공급 및 상업시설 운영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왜 '프로젝트 리츠'인가? PF 방식 개발의 한계 극복! 💪

 

정부가 이처럼 프로젝트 리츠 활성화에 적극적인 이유는, 기존 부동산 PF 방식 개발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 PF 방식의 문제점

 

  • '저자본·고부채' 구조: 디벨로퍼가 적은 자기자본으로 과도한 부채를 일으켜 사업을 진행하다 보니, 시장 상황이 나빠지면 부실 위험이 매우 큽니다.

 

  • 단기 분양 이익 집중: 대부분 개발 후 빠른 분양을 통해 이익을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다 보니, 장기적인 도시 계획이나 운영보다는 단기 수익성에 매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상가 과잉 공급 및 비효율적 운영: 이로 인해 상가가 과잉 공급되거나, 비전문적인 수분양자들에 의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지역 상권 침체 및 경기 악화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 프로젝트 리츠의 강점

 

  • 안정적인 자기자본 비율: 리츠는 상대적으로 자기자본 비율이 높아 PF 방식보다 안정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합니다.

 

  • 장기적인 개발 및 운영: 개발 후 직접 운영까지 염두에 두므로, 단기적인 분양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 전문적인 운영 노하우: 전문 리츠 운영사가 체계적으로 상업시설 등을 관리·운영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상권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결론: 3기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 리츠'로 시민과 함께! 새로운 투자 기회 주목! 🌟

 

'프로젝트 리츠'의 본격적인 도입은 3기 신도시를 비롯한 대규모 공공택지 개발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거 소수 개발사나 고액 자산가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우량 용지 개발에, 이제는 일반 시민들도 리츠를 통해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그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것입니다.

 

이는 PF 부실 문제로 얼어붙었던 부동산 개발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국민들에게는 안정적인 중위험·중수익 투자처를 제공하고, 도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되고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시도로 평가됩니다.

 

오는 11월 시행될 프로젝트 리츠 제도와 함께, 3기 신도시 우량 용지를 기반으로 어떤 매력적인 리츠 상품들이 등장하게 될지, 그리고 이것이 우리 부동산 시장에 어떤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지 큰 관심과 기대를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