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포시에서 추진 중인 대형 민관합동 부동산 개발사업(한강시네폴리스 산업단지)을 둘러싸고, 자본금 1000만 원에 불과한 신생 회사가 3년 만에 337억 원을 벌어들였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김포도시관리공사, IBK기업은행·IBK투자증권 등 공기업과 금융기관이 특정 세력의 ‘특급 도우미’가 됐다는 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1. 민관합동 개발사업에서 337억, 어떻게 가능했나?
(1) 자본금 1000만 원짜리 회사, 1년 만에 막대한 영업이익
해당 회사(에스제이에셋파트너스, 이하 ‘에스제이’)는 2019년 자본금 1000만 원으로 설립된 뒤, “한강시네폴리스개발 PFV”의 최대주주로 부상했다. 불과 창업 첫해에 142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고, 이후 3년 동안 누적 337억 원을 챙겼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도저히 정상적인 기업 성장 곡선으로는 보기 힘들다”며 부동산 개발 구조를 교묘히 이용한 것 아니냐고 지적한다.
(2) PFV 지분 ‘바꿔치기’ 의혹
원래 협성건설이 주도해 사업에 선정됐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에스제이가 그 지분을 이어받아 사실상 민간출자사 대표사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주장이다. 건설부동산 전문가들은 “공모사업자 선정 당시 조건에 맞추기 위해 협성건설을 명목상 내세우고, 실제로는 에스제이가 ‘특혜 계약’을 독점했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2. IBK기업은행·IBK투자증권, 김포도시관리공사까지 ‘특급 도우미’?
(1) 공기업·국책은행이 허술한 승인?
해당 민관합동 개발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김포도시관리공사와 IBK기업은행, IBK투자증권이, 에스제이의 대표사 지위 변경에 문제의식을 보이지 않고 승인했다는 점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다.
- 김포도시관리공사: 시민의 이익을 대변해야 하는 공기업임에도, 무자격 업체가 최대주주가 되도록 ‘변경승인’을 내줬다는 의혹
- IBK기업은행·IBK투자증권: PF 대출과 증권 업무를 담당하면서, 에스제이가 과도한 인센티브·수수료를 가져가는 계약을 묵인했다는 지적
(2) “시민 자산 축낸 꼴”이라는 비판
김포 시민들 사이에서는 “김포도시관리공사가 결국 거대 개발 이익을 민간 회사에게 몰아주고, 시민 이익을 지키지 못했다”며 반발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에스제이가 받은 자산관리위탁수수료와 인센티브가 수백억 원에 달한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공기업이 왜 이런 구조를 승인해줬느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3. 337억 원 벌어들인 회사, 수익 구조 어떻게 되어있나?
(1) 자산관리위탁수수료·인센티브
에스제이는 **PFV(프로젝트 금융투자회사)**와 자산관리(AMC) 위탁 계약을 맺어, 매달 수억 원씩 꼬박꼬박 받고, 별도로 수백억 원 인센티브를 차례로 챙기는 구조다.
- 자본금 1000만 원짜리 회사임에도, 공사를 비롯한 관련 기관이 이를 문제 삼지 않아 논란 확대
- 건설부동산 업계: “이런 계약 조건은 이례적으로 과도한 특혜”라는 평가
(2) 부당이익 추정… 서울 강남 빌딩 매입설?
업계에서는 “에스제이가 벌어들인 거액 중 일부가 강남 고급 빌딩을 매입하는 데 사용됐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확실한 근거는 나오지 않았지만, 막대한 이익이 투자자나 특정 세력의 사익으로 흘러갔을 가능성이 높다는 비판이 거세다.
4. 김포시민 분노… “공기업이 시민 이익 망쳤다”
김포 시민 입장에서는 “민간이 주도하던 도시개발사업을 김포시장이 가로채서 공사를 내세웠는데, 결과적으로 시민 재산이 축나고, 특정 회사만 배불린 꼴”이라며 강력히 항의 중이다.
- 시민단체들은 “공기업은 시민을 위한 것인데, 오히려 김포 시민에게 손해를 끼치고 있다”며, 시와 공사의 책임을 묻고 감사원 감사나 법적 대응을 예고한다.
5. 향후 전망: 수사·감사 통해 전말 밝혀질까?
현재 관련 기관에서 “에스제이의 인센티브가 과도했는지, 공사가 과연 적절한 감시 의무를 다했는지” 등에 대한 조사·감사가 논의되고 있다. 만약 부정행위가 확인되면, PFV 지분 구조나 계약 내용 등이 전면 재검토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 한편, 에스제이 측은 “절차적 문제 없었다”는 입장으로 전해지지만, 구체적인 해명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결론: 1000만 원으로 337억… “민관합동 개발사업” 불투명성 또 다시 도마 위
자본금 1000만 원짜리 회사가 3년 만에 337억 원을 벌어들인 사태는, 민관합동 도시개발사업의 구조적 허점을 드러낸다. 공기업·국책은행·증권사가 관여했음에도 감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막대한 이익이 특정 사인(私人)에게 돌아갔다는 의혹이 불거진 것이다.
김포도시관리공사와 김포시가 이 문제를 어떻게 수습할지, 그리고 시민들이 어떤 법적·행정적 조치를 요구할지가 향후 주요 관전 포인트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민관합동 개발사업에서 공공성이 훼손되면 결국 지역 주민이 피해를 본다”며, “이 사례를 계기로 투명한 PF 구조와 공기업 책임 강화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부동산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억 전세는 ‘그림의 떡’… 서민 빌라마저 공급 절벽, 주거사다리 무너질 판” (2) | 2025.04.10 |
---|---|
서울~부산 20분이면 OK?... ‘꿈의 열차’ 하이퍼튜브, 첫 발 뗐다 (6) | 2025.04.09 |
집값 30%만 투자해도 보유 가능? “한국형 리츠, 결국 입지·가격이 승부처” (0) | 2025.04.09 |
‘강남 옆세권’ 과천·성남… 토지거래허가제 풍선효과로 들썩 (4) | 2025.04.09 |
“우리도 강남입니다”...‘상대적’ 소외받았던 이곳에서 재건축 봄바람 (2) | 2025.04.08 |